에어컨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시원한 공기로 바꾼 뒤 다시 배출하는 공기순환방식입니다. 때문에 오랜 기간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 실내의 냄새가 필터와 열교환기에 배어 에어컨 가동 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.
크게 2가지의 원인은 에어컨 내부의 냄새 농축과 곰팡이로 인한 악취 발생으로 볼수 있습니다.
오늘은 에어컨 냄새를 제거, 예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에어컨 냄새 제거 및 예방 방법
만약 필터를 청소했음에도 냄새가 지속된다면 냉각핀에서 냄새제거를 해보셔야 하는데
1>에어컨을 끄실 때 그냥 끄신다면 내부에 습기가 건조가 안되서 냄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에어컨 전원을 끄기 전 송풍모드로 변경하여 10 ~ 30분 정도 진행해 충분히 건조를 시킨 뒤
전원을 끄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2>이미 냄새가 나는 경우 냉각핀 청소를 진행해야하는데 전원을 끄신 후
케이스를 분해한 후 냉각핀 청소용품 혹은 과탄산소다를 섞은 물을 뿌리고
솔과 같은 청소용품으로 구석구석 쓸어 먼지와 곰팡이를 제거하시면 되십니다.
3>주기적으로 극세필터(먼지거름필터)와 PM1.0 (또는 e-HEPA)필터 시스템을 제품에서 분리하여 물로 세척한 후 그늘에서 충분히 말려주시면 필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.
4>만약 탈취필터가 냄새로 오염된 경우는 세척하여 재사용 할 수 없으니 새 탈취필터로 교체하여 사용해 주세요.
5>에어컨 근처 창문을 열고 냉방모드를 2시간 정도 가동한 다음 청정모드로 30분 정도 운전해 주시면 냄새를 더욱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.
6>음식을 조리하거나 방향제(디퓨저) 또는 향초를 사용하는 경우 운전중인 에어컨에 냄새가 흡착될 수 있습니다.
7>에어컨 운전을 종료하셨다가 실내 환기 후 사용하시면 냄새발생을 줄일 수 있으니 꼭 기억해 주세요.
'가전용품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G 에어컨 알람,에러코드 CH38 원인 과 해결 방법 (0) | 2022.07.12 |
---|---|
에어컨 에러코드 CH 61 원인과 해결방법 (0) | 2022.07.12 |
식기 세척기에서 냄새가 날때 원인과 해결방법 (0) | 2022.06.27 |
일렉트로룩스 무선 청소기 충전이 잘안될때 팁 (0) | 2022.06.25 |
[ULTIMATEHOME 700] HEPA필터 커버 분리될때 고정 방법 (0) | 2022.06.25 |
[LG 톤프리] 무선 이어버드 분실 시 찾는 방법 (0) | 2022.06.25 |
댓글